[사설/남도방송] 광양은 예로부터 정이 많고 생활력이 강한 도시였다. 국내 최초로 김서식지를 보유해 부촌으로 알려진 도시였다.  

하지만 80년대 광양제철소가 들어서면서 급격한 인구증가와 함께 환경공해 문제가 대두됐고, 지역적 갈등이라는 부작용도 봇물처럼 터졌다.

때문에 많은 사회적 비용이 낭비됐고 지역 간 반목?갈등으로 회복할 수 없는 아픔을 겪고 있다.

이런데 에는 지역을 지키기는커녕 소위 대기업의 앞잡이 노릇하며 지역을 팔아넘긴 토착세력들의 과오가 크다.

그들은 자신들의 이권 챙기기에 급급한 나머지 지역 문제 해결에는 안중에 없었다.

핍박받고 권력에 눌려 숨소리조차 제대로 내지 못했던 지역민들의 아픔과 고통을 마냥 덮어두려고만 했던 그들의 지난 행동을 시민들은 잊지 않고 있다.

30여년이 흘렀지만 지역 경제를 손아귀에 쥔 포스코의 자본논리에 갇혀 지역 상공인들을 비롯한 포스코 연관 기업인들은 입이 있어도 할 말을 못하는 벙어리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포스코 수혜(?)를 입은 무리들 역시 그들의 잘못을 감싸는데 혈안이 돼 밥그릇 지키기 급급하다.

돌이켜 보면 천혜의 보고인 광양만을 제철소에 내주고 지역민들은 정작 얻은 것이 별로 없다.

680만평의 일부 바다만 공장부지로 내준 것이 그 주위 광양만 1000만평 이상이 폐허가 됐다.

이제는 대기환경 문제까지 겹치면서 전국에서 가장 더러운 도시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하지만 사태에 대해 정작 책임을 지겠다는 이는 없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은 이미 글로벌 기업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가치관 가운데 하나다.

기업의 신뢰는 곧 브랜드 가치이며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시장 개방 시대의 책임 의식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지역의 기득권 세력들 역시 ‘나만 배부르면 된다’는 식의 포스코의 모든 잘못을 눈감아 주는 시대는 떠났다.

시민들에게 돌아가야 할 사회적 비용을 중간에 가로 채고 있다는 것을 알고 수치스럽게 생각해야 한다.

이들이 팔아넘긴 광양만을 예전의 청해로 되돌릴 수는 없다. 그러나 더 늦지 않게 지금 시점에서 기업과 지역민이 함께 나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각한 고민들이 논의돼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래야만 광양만이 세계적인 물류항, 제철소, 해양관광도시의 밑그림이 그려질 것이다.

이 모든 것에는 전제조건이 있다. 기득권 세력들이 사리사욕을 버릴 때 ‘꿈은 이뤄진다’는  불변의 법칙이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