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출신 김필호 여사 대통령표창 추서…정재상 재야사학자 서훈신청 결실

김필호 선생.
김필호 선생.

[곡성/남도방송] 광주 3.1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돼 옥고를 치른 전남 곡성군출신 여성독립운동가 김필호(金弼浩,1902~?, 옥과면 옥과리 광주수피아여고 재학) 선생과 완도 황오봉(완도읍), 나주 김영기(봉황면), 순천 황맹석(매곡동), 광주 김정수(광산구) 선생 등 19명이 3.1운동 100년 만에 경남 하동군의 재야사학자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의 노력으로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정부서훈이 추서된다.

12일 국가보훈처가 밝힌 광복절 정부포상자 명단에 의하면, 광주3.1만세운동에 참여한 애국지사 19명의 독립유공자가 포상한다. 이중에 전남출신 10명, 광주출신이 9명이다. 이는 한 지역 독립운동 포상자로서는 이번 광복절에 광주3.1독립운동가가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번 정부포상과 관련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정재상 소장은 지난 2009년 국가기록원에서 발굴.서훈 신청한 광주3.1만세운동 참여자 19명이 광복절 정부포상자에 포함 됐다고 밝혔다.

정 소장이 서훈 신청한 광주3.1독립운동가는 2009년부터 2019년 3월까지 20명이 유공자로 인정받았다. 또 이번에 19명의 독립운동가가 포상함으로써 정 소장이 발굴한 광주3.1만세운동 독립유공자는 39명으로 늘어났다.

이번 서훈은 광주출신 김정수(남구 대촌동) 선생이 건국훈장 애족장을, 전남출신 김영기(나주시 봉황면) 선생 등 8명이 건국포장을, 김필호(女, 곡성군 옥과면) 황오봉(완도군 완도읍) 선생 등 10명이 대통령표창을 각각 추서 받는다.

광주3.1만세운동은 1919년 고종황제의 국장을 보기 위해 서울에 갔다가 만세운동을 목격한 김철 선생 등이 3월 5일 광주로 돌아와 만세운동의 광경과 시위 정황을 청년·지역 유지들에게 전파해 시위가 일어났다.

거사 일은 당초 광주 부동교(광주 동구 불로동과 남구 사동을 잇는 다리) 아래에서 큰 장이 열리는 3월 8일로 예정됐다. 하지만 독립선언서 등사와 태극기 제작 등을 준비하고 사람들에게 소식을 은밀하게 알리는 데 시간이 부족해 작은 장이 열리는 3월 10일로 연기했다.

숭일학교·수피아여학교·광주농업학교 교사와 학생들은 장터에 모인 사람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었다. 당일 오후 3시가 되자 누군가 큰 태극기를 높이 들어 독립 만세를 외쳤고, 장터에 모인 1천여명의 시위 군중은 동시에 독립 만세를 연창하며 시장 안을 행진하기 시작했다.

양림동 쪽에서는 기독교인과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학생들이 광주천을 따라 만세를 부르며 시위행진을 했고, 북문 쪽은 광주농업학교 학생과 시민들이 맡았다. 시위행진은 오후 5시까지 시장에서 읍내를 돌아 경찰서 앞까지 이어졌고, 시위대 기세에 눌려 어찌할 바 몰랐던 일본 헌병과 경찰은 대열을 정비해 시위대를 체포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일로 주동자 김강, 김철, 홍순남(경남 하동군 하동읍, 수피아여학교 학생) 등 가담자 대부분이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정재상 소장은 “광주3.1독립운동가를 발굴.포상 신청한지 10년 만에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았다”며 “그동안 서훈을 위해 국가보훈처에 서훈신청, 청와대와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 청원 등의 노력을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