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간 타워크레인 운영권 놓고 분쟁
최저가 경쟁에 단가 후려치기 “하청만 죽을 맛”
대우건설, 불공정 하도 관행 점검 나몰라라

광양 성황·도이 지구에 착공한 '푸르지오 더 퍼스트' 공사 현장.
광양 성황·도이 지구에 착공한 '푸르지오 더 퍼스트' 공사 현장.

[광양/남도방송] 광양 성황·도이 지구에 착공한 '푸르지오 더 퍼스트' 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 운영권을 놓고 건설노조 간 이권싸움과 저가입찰, 지역업체 배제 등 갑질행위가 만연하고 있지만 원청사인 대우건설의 안일한 대처로 눈총을 사고 있다.

시행사 겸 발주사인 대우건설은 지하 2층․지상 25층, 12개동 총 1140세대 규모의 아파트를 지난해 8월 착공, 2021년 10월 완공을 목표에 두고 있다.

그러나 타워크레인 운영권을 놓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간 이권개입에 따른 다툼으로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해당 현장에 투입된 타워크레인은 총 6기로 애초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소속 건설업체에 각각 4기와 2기를 발주했다.

하지만 민주노총이 이에 반발하자 한국노총이 지난달 설 연휴를 전후해 타워크레인 상부 탑에서 고공농성을 벌이면서 공사를 저지하고 6일 만에 대우측과 이면합의를 하고 농성을 풀었다.

하지만 대우측은 이면합의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으며, 현재 한국노총 운영의 1호기는 작업이 중단됐고, 2호기 운영권을 놓고 양 노총이 알력 싸움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양측의 협상은 최근까지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우건설 측 관계자는 “형틀, 타설 등 모든 공정에 민주노총이 개입돼 감 놔라, 배 놔라한다”며 “자신들에게 (공사를) 주지 않으면 인원 빼버리고 작업도 못하도록 하겠다는 협박을 서슴치 않고 있다”고 불만을 노골적으로 털어놨다.

이 관계자는 “1호기 사용하지 못하는 바람에 하루 평균 800~900만원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공사가 지연돼 완공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입주 시기 연기 등 입주자들의 피해가 예상된다.

더 큰 문제는 대우건설이 하청업체들의 공정한 참여와 불법 하도급 예방, 지역업체 참여 배제 등 원청사로서의 응당히 이행해야 할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타워크레인과 지게차, 포크레인 등 공사 중장비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입찰과 도급과정에 의한 업체선정이 정당한지 등 투명성을 점검해야 하나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 “무엇보다 수십여곳의 하청업체에 공사를 발주하는 과정에서 저가입찰 관행이 만연하다”고 증언해 주고 있어 부실시공 우려도 염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1차 하도급업체인 청우건설과 태운건설, 해성건설, 승아전기 등 4곳에서 4차 하도까지 발주하면 대략 30~40여개 업체가 공사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 업체들의 참여율이 전무하다시피 한데다 저가 하도급과 단가 후려치기로 각종 공사자재는 물론 향후 마감재와 인테리어 등 저가 자재들이 사용될 개연성이 농후한 상태다.

이 아파트의 분양가는 평당 880만원으로 지역에선 최고가 수준의 분양가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저가 입찰에 따른 부실공사로 입주자들은 물론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시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줄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역 건설업체 관계자는 “대우건설이 지역 최고의 명품아파트를 짓겠다고 해놓고, 공사참여 업체에 대한 점검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며 “광양시와 지역 경제단체가 요구하는 지역 업체 참여 확대조차 외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법적 기준에도 못 미치는 하도급율와 단가 후려치기로 도급업체만 죽어나는데도 오로지 자신들 잇속 챙기기에만 혈안이 됐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대우건설 관계자는 “전자입찰로 업체가 선정되다 보니 불가피하게 지역 업체 참여율이 저조한 측면도 있다”며 “원청에선 거래업체가 어딘지도 모르고, 특정업체가 선정되도록 관여할 사항도 아니다”고 말했다.

더욱이 해당 공사 현장에는 불법 외국인 근로자들이 투입됐다는 제보도 발생하고 있다.

중장비 세륜 시설을 가동하고 있지만 정제되지 않은 세척수를 계속해서 재사용하면서 세륜시설을 통과한 차량에서 발생한 흙탕물이 도로를 뒤덮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광양시 관계자는 “지역업체 공사 참여를 확대하고 가급적 지역 생산품을 사용하도록 일선 현장에 권고하고 있지만 강제할 수 없는 사항”이라며 “광양제철소라든지 대기업이 지역업체 참여를 장려하는 실정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한다. 차후에라도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