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에 이런 얘기가 있다. 중국 전국시대 송나라의 ‘자한(子罕)’이라는 자가 군주에게 말했다. “상 받는 것은 사람들이 좋아하니 군주께서 맡으십시오. 벌 받는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니 제가 맡겠습니다.” 그럴 듯하게 여긴 송나라의 군주는 형벌권을 그 신하에게 맡겼다가 낭패를 당하고 만다. 요지는 상과 벌 모두 중요하다는 것이지만, 이 이야기에서 벌은 받는 사람도 주는 사람도 즐겁지 못한 것인 반면, 상은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모두가 기분 좋은 것임을 새삼 확인할 수 있다.

상은 즐거운 것일 뿐 아니라 효과적인 것이다.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주는 ‘다산학술상’이 있다. 다산학 및 관련 연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학자(또는 단체)에 수여하는데, 최근 10회째 학술대상은 ‘연세대 국학연구원’이 수상했다. 그간 훌륭한 학자들에게 수여하여 학계에서 제법 좋은 평판을 얻고 있다. 학자로서의 다산 정신을 현양하고 다산 연구도 진작시키고 있음이 분명하다.

다산의 목민정신을 현대적으로 구현하는 자치단체장을 잘 골라 상을 주는 것만큼 다산의 목민정신을 현양하는 게 또 무엇이 있을까. 그래서 재작년에 다산연구소도 내일신문과 협력하고 농협의 지원을 얻어 다산목민상을 제정했다. 지방자치가 민주주의의 기초로서 내실화하는 데 기여하는 것도 다산의 목민정신을 현양하는 것일 것이다.

당초 기획에는 단체‘장’을 대상으로 시상하려 했다. 그런데 오늘날 단체장은 선거를 통해 주민의 평가를 받는지라 달리 상을 주어 평가한다는 것이 적절치 않은 면이 있었다. 결국 시상대상을 ‘단체’로 하되, 광역을 제외한 기초자치단체로 하기로 했다.

제1회 다산목민상 후보를 찾는다는 홍보가 처음 나가자, 같은 내용의 문의전화가 줄을 이었다. 참가비나 홍보비가 있느냐는 것이었다. 그땐 무슨 영문인지 몰랐다. 부상으로 상금도 주는데, 참가비는 무슨?

나중에 알고 보니, 각 지방자치단체는 여러 가지 상들을 받고 있었고 그 가운데 돈 주고 받는 상이 있었다. 바로 현대판 선정비요 송덕비인가? 가렴주구에 여념이 없는 탐관오리가 백성의 고혈을 더욱 쥐어짜 자신의 선정을 기리는 비를 세운 가증스러운 역사가 오늘날도 엄연히 벌어지고 있었다니. 좀 따지고 들어가면 변명의 여지도 없지 않았다. 느닷없이 상을 주고 나서 돈을 뜯어가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