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벼 재배단지 광양읍 도월리 서식

광양읍 도월리 신도부락 김기선씨 최초 발견

지난 70년대 이후 거의 사라져 지금은 생태계 보전이 잘 된 청정지역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긴꼬리투구새우가 광양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긴꼬리투구새우는 몸의 절반이상이 투구모양으로 3억 5천만 년 전 모습 그대로 간직한 채 진화가 멈춰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며 식량증산을 이유로 벼 재배 논에 농약과 화학비료 살포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지금은 환경부 멸종위기 2급 희귀생물로 보호받고 있는 종이다.

몇 년 전부터 전국의 청정지역에서 소규모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기 시작해 올해는 전남지역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으며 광양시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긴꼬리투구새우는 주로 물벼룩과 모기 유충 등 해충과 잡초의 어린 싹을 먹고 먹이활동을 위해 진흙을 파고 들어가는 습성으로 잡초가 서식하기 힘든 조건을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우렁이와 함께 친환경농법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깨끗한 곳에서만 서식해 환경오염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 지표생물이라는 점에서 긴꼬리투구새우의 서식은 광양시의 생태계가 다시 복원돼 토양이 건강하고 물이 깨끗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긴꼬리투구새우는 중앙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몸길이는 2.5~3㎝ 크기이고 꼬리는 2㎝ 가량으로 36~37개의 마디가 있으며 가슴과 배부위에 각각 11쌍과 19쌍의 다리가 있다.
주 서식지는 남부지방의 논이나 민물의 웅덩이 등이며 모내기가 끝날 때쯤 알을 낳은 뒤 7월 하순경에 소멸하는 1년생 수서생물이다.

발견된 곳은 광양읍 도월리(김기석씨 발견)로 광양시가 친환경농업지구로 지정해 수년 동안 농약과 비료를 살포하지 않고 친환경으로 벼농사를 지어 토양이 건강하고 서천의 맑은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해 생태계가 살아있는 청정지역이다.

시 관계자는 "농경지의 생물다양성은 청정 농업환경의 지표를 말해준다" 며 "오존층파괴와 산성비 ,수질오염 등으로 논 생물 다양성이 감소되었으나 광양시가 지속적인 친환경 농업정책을 펼친 결과 멸종위기에 놓인 긴꼬리투구새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