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남도방송] 최근 일본의 지진 사태로 인해 농산물의 원전피해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친환경농산물들이 관심을 끌고 있다.

앞서 우리나라는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를 시행해 현재 전국에서 각 지역을 대표하는 친환경 농산물들이 생산, 소비자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그 덕분에 우리나라에는 그 어느 때보다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들이 생산, 유통되면서 이제 식생활 저변에 자리를 잡았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편법을 동원하는 생산자들과 상업적인 이득만을 추구하는 유통업자의 문제점은 친환경 농산물을 저해하는 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는 인증단계의 투명성과 소비자의 신뢰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친환경 먹거리가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당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인증제도'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어찌됐던 농산물의 '인증제도'는 현재 우리나라의 농산물 생산자들의 인식을 획기적으로 확 바꾸었다. 최고의 제품과 품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당장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친환경 생산물생산 저변에 깔려있는 농민들의 노동에 대가 역시 이익 창출이 분명할 것이다.

기껏 보조금(2011 밭작물 저농약 인증농가 기준 1만㎡당 52만 4천원)과 경매시장에서 애물로 취급받아 일반농산물로 둔갑 유통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은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들의 한숨 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의 지난 10여 년간 친환경제도의 문제점을 인식한 정부는 친환경인증 품목에서 저농약의 품질 인증을 2014년 폐지와 더불어 방향을 선회, GAP(우수농산물관리제도)인증화 하려는 정책을 세우고 있다.

이 또한 생산 친환경 생산농가들의 현실을 무시한 처사로 고품질에 따른 손실 대책 등 대안 마련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벌이는 당국의 무책임한 탁상행정에서 비롯된 철저한 소비자를 위한 제도로 나가고 있다.

친환경이라는 이유로 '저농약'과 '무농약' 등이 자리를 잡고 소비 패턴이 사람의 몸에 맞춰져 친 웰빙시대에 양질의 먹거리를 생산하는 시대적 흐름을 거슬릴 수는 없지만, 생산자도 땀에 대가를 지불받을 수 있도록 농산물 인증제와 판매과정에도 많은 관심을 쏟아야 만이 진정 친환경농산물이 시장에서도 살아남고, 한국농업이 세계 속에서도 살아남을 것이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