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2018 격변하는 호남 정치권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추진 ‘태풍의 핵’
정치판형 요동…선거 입지자들 대혼란
지역민 “선의의 경쟁은 지역에 보탬” 반색

무술년 새해가 밝았다. 대한민국 정치는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새해벽두부터 정가의 관심은 국민의당발 정계 개편에 모든 촉각이 쏠리고 있다. 한때 야권의 다크호스로 불리며 호남에서 파란을 일으켰던 국민의당이 그간의 파행을 딛고 아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호남의 현직 국회의원과 단체장 등 상당수가 포진한 국민의당에서 당의 재건으로 합당을 단행하고 있는 가운데 결국 혁신 드라이브가 될지 아니면 패착이 될지 성패 여부가 주목된다.

반면 더민주당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성공 잣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어서 다가오는 6월 지방선거는 양보할 수 없는 치열한 각축이 예상된다.

국민-바른 통합 밀물…‘혁신' or '무모한 도전’

최근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는 국민의당이 내홍을 수습하고, 중도개혁을 표항하는 3지대 야권으로써 거듭날 수 있을지, 아니면 호남 중진들의 탈당‧분당으로 분열을 자초할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된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좌고우면 하지 않고 통합의 길로 전진하겠다”며 자신의 정치 생명을 걸고 강경하게 추진하는 통합이 정치권의 태풍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민의당은 2017년12월31일 발표한 바른정당 통합에 대한 전당원 의견을 묻는 투표 결과 4만4706명(74.6%), 반대 1만5205명(25.4%)으로 압도적인 찬성이 나왔다.

총 선거인단 26만437명 중 K보팅(온라인투표)과 ARS 투표에 5만9911명이 참여해 23%의 투표율을 보였다.

통합찬성파 측은 금명간 전당대회를 열어 이를 당론으로 공식화하고 통합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재로선 반대파의 반발이 당의 존립을 흔들정도로 만만치 않은 상황.

국민의당 광주·전남 국회의원 16명 가운데 10명이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에 합류하는 등 현역 과반 이상이 조직적으로 반대운동에 나서고 있는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이탈이 가속화 될 경우 사실상 바른정당과의 합당은 명분과 실리를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 대표가 당의 혁신을 위해 고육지책으로 추진했던 합당이 오히려 당이 존립을 흔들고 자신의 정치생명마져 위협받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심이 술렁이면서 대규모의 탈당 조짐도 보이고 있다.

기초의원의 경우 선거가 5개월여로 다가온 현실에서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올인해수 밖에 없는데 당의 입지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

국민의당 소속의 많은 기초 의원들이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에서 탈당한 사례로 현재로썬 친정으로의 복귀는 쉽지 않은 형국이다.

‘민주당 공천=당선’이라는 공식이 회자될 정도로 국민의 당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면서 실제 일부 국민의당 의원들은 비공식 채널을 통해 이적을 추진하는 구애작업을 펴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에서는 이에 대한 제스처를 취하지 않고 있다.

급기야 광주·전남 광역·기초의원들은 조만간 긴급 회동을 갖고 당내 갈등에 대한 봉합책 마련을 촉구할 방침이다. 여의치 않을 경우 집단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통합 신당, 기우 깨고 호남 반전 가능할까?

통합 정당이 호남에서의 반전을 일으킬 수 있을지에 여부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지지율 10% 미만의 양당이 통합 시 많게는 19% 까지 상승하면서 제2야당으로 수직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데 대해서는 긍정적 시그널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물과 기름과 같이 호남과 영남에서 태생한 양 당의 근본적 기조와 정체성, 스탠스를 놓고 통합방식과 접근을 어떻게 다가가야 하는 문제도 통합에 큰 걸림될 이 되고 있다.

뿌리가 다른 양 집 살림을 합치는 것이 의지만으로는 힘들며,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우려도 팽배하다.

여기에 대표직을 놓고도 안철수 대표와 유승민 대표의 행보도 양 당의 고지선점과 기선제압의 모양새가 될 수 있어 난망이 예상된다.
 
반발파 이합집산 창당 가능성…다자 구도도

정치권에서는 국민-바른 과의 통합을 기정사실화 하면서도 다만 탈당이나 분당으로 인한 정치적 데미지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는 점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통합에 반대해 집단 탈당한 호남의원들이 이합집산을 통해 자신들이 독자노선을 구축할 경우가 가장 큰 변수로 떠오른다.

이들이 별도의 정당을 꾸려 광역기초단체장을 포함한 기초 의원을 배출할 경우 호남에서는 기존 양당에 대한 이율배반적 정서로 반감표가 몰릴 수도 있다.

다만 20인 이상의 현역의원이 등록해야 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하다는 현실적 난제도 있다.

만일 이들이 군소 정당 창당에 성공할 경우 더민주당과 국민-바른 통합신당파, 국민의당 잔류파 또는 탈당파, 무소속 간의 다자 대결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자치단체장이나 광역기초의원의 경우 다수의 당의 선택을 놓고 혼란이 가중되는 사상초유의 부작용도 예상된다.

다만 당내 온건파로 분류되는 손학규 상임고문의 적극적인 중재가 있다면 당이 분열되지 않고 온전히 통합에 골인할 가능성도 있으나, 양 측의 첨예한 정치적 이해타산이 얽혀 이마저도 쉽지 않아 보인다.

문재인 정부·통합신당 바라보는 호남 시선 ‘결자해지’

김대중 대통령의 철학과 가치를 계승하며 진골 호남야당을 표방하는 국민의당이 통합신당이라는 파격행보을 단행한데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차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그동안 호남홀대론 등 민주당에 오랫동안 뿌리 내려온 호남인들의 애증과 반감은 지난 2016년 총선에서 여과없이 표출됐다.

그나마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정권 탄생에 절대적 기여를 했다는 자부심으로 이러한 반감은 수그러들면서 민주당이 사상초유의 지지율을 확보한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비록 국민의당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으나 존재 자체가 사라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호남인들의 한결같은 민심이다. 이는 국민의당이 제3당으로 일당 독주체제에 대한 견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신념 때문이다.

다만 통합 과정에서 국민의당이 고수해온 정체성인 중도개혁이 아닌 ‘중도보수’나 ‘보수개혁’ 등 호남 민심에 이반되는 스탠스를 표방할 경우 신당에 대한 호남 표심은 사그라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여하튼 정치 수혜자인 지역민 입장에선 양당이든 다자든 정치권의 비편향적이고 건전한 구도 형성을 더 나은 정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민생과 직결된다고 믿고 있다.

그러한 불변의 진리를 호남 소외론을 통해 오랜 기간 학습으로 터득해왔기 때문이다.

한편 광주·전남에선 내년 지방선거에 광주시장과 전남지사를 비롯해 시·도 교육감, 시·군·구 기초단체장 27명, '풀뿌리 자치의 심장'격인 광역의원 80명, 기초의원 311명 등 모두 420명 가량이 선출된다.

저작권자 © 남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